오종우. 예술수업. 1부. 1~3강. 오종우. 예술수업. 어크로스. 2016(초판8쇄). 서 : 창의성의 전제 조건(기반) = 전문성, 그 대상을 향한 애착 [예:피카소 '춤'] 1부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강 도스토옙스키에게 배우는 세상을 새롭게 해석하는 능력 예술의 근본 성질 - 세상과 현실을ㄹ 새롭게 바라보며 창조하.. B. 교육/4. 책 읽기 2018.01.08
[스크랩]박시백. 35년 35년 - 박시백 작가가 그리고 쓴 일제 강점기 2018. 1. 2. 16:47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번역보기 박시백 화백 그리고 씀 비아북 펴냄조선왕조실록을 20권의 만화로 그리고 써냈던 박시백 작가님이 이번에 또 큰 일을 시작하셨습니다. 우리 나라가 겪었던 치욕의 35년을 만화로 그려내는 엄청난 .. B. 교육/4. 책 읽기 2018.01.04
[퍼온글]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숲속 일기 '월든' [장석주의 사물극장] [27]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숲속 일기 '월든'장석주 시인·문학평론가 입력 : 2018.01.04 03:10 사물은 사람이 살려고 만든 문명의 도구이다. 삽과 쟁기가 손과 발의 연장이고, 망원경과 현미경이 눈의 연장이듯이 사물은 우리 신체의 연장이다. 인류는 이 사물을 쓰며 산다... B. 교육/4. 책 읽기 2018.01.04
한국고전선집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옛 선비의 사상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문집을 번역하여 재구성한 것 금대집 농암집 동춘당집 : 송준길가 公義를 추구했던 忠心 삼봉집 성호집 : 이익이 율곡과 반계 유형원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개혁론을 펼침 순암집 : 용재총화로 유명한 성현의 생애와.. B. 교육/4. 책 읽기 2018.01.04
유홍준, 안목 http://seafog333.blog.me/221146483718 유홍준의 美를 보는 눈 시리즈의 세 번째 책. 1장 강세황, 김정희, 오세창, 최순우 등 역대 '대안목'들이 미를 갈파한 탁견을 소개 2장 뛰어난 안목을 지닌 미술 애호가들의 수집 이야기 3,4장 작가가 직접 다녀온 대가들의 회고전과 기획전에 부친 평론 이 책은 .. B. 교육/4. 책 읽기 2018.01.04
[스크랩]2018 올해의 책 추천 평 출처 : http://www.christiantoday.co.kr/news/307822크리스천 투데이올해의 책 주요 추천인들의 ‘선택’과 ‘한 줄 평’(2) ▲이동준 목사의 ‘올해의 책’.문화 북스2018년 새해, 이 중에서 한 권 읽어보시겠어요?이대웅 기자 입력 : 2017.12.31 19:48 2017년은 가지만, 2017년에 나온 책들은 2018년에도 읽힐 .. B. 교육/4. 책 읽기 2018.01.02
[스크랩]명견만리 유아코딩의 중요성 명견만리 유아코딩의 중요성 코딩 스토리 2017. 11. 8. 17:49 http://blog.naver.com/ecodingacademy/221135525456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명견만리- 데이터과학자의 역할 4차산업혁명은 어떤인재를 원하는가 내용이 좋아서 리뷰하려고해요~ "학국 학생들은 미래에 필요하지 않은 지식과 존재하지 않을 직.. B. 교육/ 교육 일반 2017.12.27
[스크랩]전세계 유일의 디지털 국가선언-에스토니아-명견만리(KBS1) http://blog.naver.com/applepie0323/220957768199 전세계 유일 디지털 국가 선언! 에스토니아 [명견만리] 쉽게보는 명견만리 / 명견만리 더하기 2016. 11. 10. 18:02 http://blog.naver.com/kbsgoodinsight/220858377661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명견만리] 전세계 유일 디지털 국가 선언! 에스토니아 전세계 유일 디지털 국.. B. 교육/2. 지구촌·유대 2017.12.27
명견만리 [퍼온글 포함] -정치, 생애, 직업, 탐구편- 1부 정치 1장 합의의 기술 : 2027년에 결정될 핵폐기장 부지 선정을 위해 2015년부터 12년동안 매년 50회식 토론회를 여는 스위스. 다수의 힘으로 미래를 바꾸기 위한 합의의 기술 2장 새로운 정치 시스템 2부 생애 3장 120세 쇼크, 새로운 생애 지도가 필요하다 - 서드.. B. 교육/4. 책 읽기 2017.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