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교육/7. 초등교육

[스크랩]아이들의 창의력이 낮아지고 있다

양선재 2015. 10. 5. 11:36

해외 창의‧인성교육 관련 최신 전문 지식 및 교육 정보를 제공합니다. 

  • 작성자크레존 담당자
  • 등록일2015.08.11
  • 조회수235

[창의교육 해외사례/ 미국/ 아이들의 창의력이 낮아지고 있다]

 

아이들의 창의력이 낮아지고 있다

Yes, There IS a Creativity Crisis!

 

noname01

사진출처: www.creativitypost.com 

미국 내 아이들의 창의력이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다.

 

윌리엄 앤 매리 칼리지(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의 김경희 교수가 2005년 연구한 바에 따르면, IQ와 창의력의 상관관계는 사실 크지 않다. 지적능력이 그렇게 뛰어나지 않더라도 한 가지 특정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마스터한다면 그 분야에서만큼은 창의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서, 그녀는 오랜 기간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창의력과 지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유명한 플린 어펙트Flynn Effect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지능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만약 지능과 창의력이 같은 것이라면, 창의력도 비슷한 상승곡선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결과는 충격적 이었다. 미국과 캐나다 내 어린이들의 창의력이 1990년이후 확연하게 저하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녀는 창의력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토랜스교수가 창안하고 그동안 6차례 변화되어온 토랜스 테스트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를 기준으로 삼아 1966년 부터 3000여건, 1974년부터 19000여건, 1984년부터 40000여건 등 근래까지의 총 3십만여건의 자료를 아래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유창성 점수 Fluency scores : 얼마나 많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가

-독창성 점수 Originality scores : 얼마나 비범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가

-정교성 점수 Elaboration scores : 아이디어가 얼마나 정교하며 끈질기게 해결하고자 하는가

-주제의 추상성 점수 Abstractness of Titles scores :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정보를 합성하는 능력

-중도포기저항점수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scores : 섣부른 편견 없이 주제에 얼마나 열린 생각을 가지고 대하는가

-13가지 창의적 강점 체크리스트 점수 scores from the Checklist of 13 Creative Strengths : 얼마나 창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그녀는 이 모든 영역에서 창의력이 꾸준하게 감소되고 있다는 것을 2011년 창의성 연구 저널Creativity Research Journal을 통해 밝혔다. 정교성 점수가 가장 먼저 1984년부터 저하되었다. 창의성이란 그저 뜬금없이 아이디어만 내놓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를 상상하는 것과 이야기를 쓰는 것은 다른 것이다. 생산물 없는 창의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정교성이란 사실 IQ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수가 저하되고 있다는 것은 놀랍다. 유창성 점수는 1990년 이후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전보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아이디어의 양이 줄어들면, 당연히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는 가능성도 적어진다.

 

독창성은 창의적 사고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녀는 독창성 저하의 원인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분위기를 들었다. 모두가 창의성을 사랑한다고 생각하지만, 창의성에 무엇이 정말 관련되어 있는지를 이해하는 이는 거의 없다. 심리학적으로 인간은 변화, 불확실성, 새로운 아이디어, 도전, 그리고 창의적 행동이 포함된 것을 불편해한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최소한 지금처럼 적대적으로 대하지는 말아야한다는 것이다. “창의적 환경”이란 누군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냈을 때, 어차피 되지도 않을 일이니 아이디어조차 인정해 주지 않기보다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것에 대해 감사하는 환경을 말한다. 독창성 점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에 대해 사회적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도포기저항점수와 추상적 주제 점수는 1998년 이후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우리의 편견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다른 시각을 수렴할 수 있다는 뜻이고 다르게 보이는 것들을 함께 합성할 수있게 하므로 창의적 사고를 중진 시키는 한 방법이 된다. 체크리스트 점수는 1990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덜 언어적이고, 감정을 덜 표현하며, 유머감각도 줄어들었으며, 상상력이나 시각화 능력, 그리고 정보 합성능력도 줄어들고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덜 미래지향적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미국에는 창의성으로 승부를 봐서 성공한 스토리가 많이 있다. 그러나 예전보다 덜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사람들을 참아주는 인내심이 줄어들고 있다. 특히 어린아이들일수록 창의적 사고 능력이 줄어들고 있다. 건강한 창의적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중독적인 행동을 회피하는 것이다. 중독이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약물, 텔레비전, 이메일, SNS, 게임, 신문 등이 모두 창의적인 생산물을 막는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수 천만 명이 이용하는 마인 크래프트와 같은 컴퓨터 게임은 처음에는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도 있지만, 중독이 된 이후에는 창의력을 저하시킨다. 미국 내의 이러한 창의력 저하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적인 감소이며 이러한 추세를 뒤집기 위해서는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라도, 우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고려하고 또 받아들여 실행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

이 연구를 일반화시키자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도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창의적인 환경만을 놓고 본다면, 미국에 비해 우리나라가 훨씬 더 적대적 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부터 학교 내에서 소위 튀는 행동을 하는 학생은 문제아로 낙인찍히기 쉽고, 잘못된 의미의 “배려”를 강조하며 수업시간에 방해되는 질문이나 행동은 용납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서도 이제는 평준화 교육에서 진정으로 벗어나서 창의성의 올바른 의미를 알고 받아들여 교육 속에 실천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 글과 사진은 

http://www.creativitypost.com/education/yes_there_is_a_creativity_crisis
참고: http://kkim.wmwikis.net/, https://www.youtube.com/watch?v=kwOUDTHZ81Q
을 출처로 하며, 저자인 Kyung Hee Kim 김경희 Kyung Hee Kim 윌리엄 앤 매리 칼리지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교수로부터 사용허락을 받아 번역· 게재한 것임. 한국인인 김경희(KH Kim)교수는 미국영재교육창의력연합(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NAGC))의 의장이며 현재 College of William & Mary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에서 10년간 고등학교 교편생활을 했으며, 지금 대학에 교수로 재직하기 이전에는 U of Gerogia, Eastern Michigan University에서 학생들을 지도했다. 한국 고려대학교에서 박사를 마친 후 U of Gerogia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학위수상 및 Hollingworth 상등을 받고 Creativity Research Journal, the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등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 번역 및 편집: 백승주, 홍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