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우금리]/ 4. 꽃,나무,숲,생태

어저귀

양선재 2017. 8. 19. 19:18

http://blog.naver.com/jgs9396/221052382927



귀화식물 '어저귀' 쌍봉산 주변생물 / 생물 다양성

2017.08.17. 21:46

복사 http://blog.naver.com/lee010505/221076288269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섬유식물 '어저귀'(2017.8.8.)

산자락에 많이 피어있어요

꽃은 노란색이고 꽃잎은 5장입니다. 꽃이 예쁘긴한데 어찌보면 앞니 같아요^^.

잎은 콩잎처럼 넓적하게 생겼어요. 

인도산으로 귀화식물입니다.




학명 : Abutilon avicennae

: 식물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 : 아욱목

원산지 : 인도

서식장소/자생지 : 들

크기 : 높이 약 1.5m

 

인도산이고, 섬유식물로 한때 많이 재배하였으며 들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귀화식물이며 높이 1.5m 정도이며 전체가 털로 덮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줄기: 한해살이풀로 직립하며, 짧은 연모(軟毛)가 있다.

잎: 어긋나며(互生), 긴 잎자루가 있다. 특히 잎 뒷면에 연모가 밀생해 독특한 촉감을 느낄 수 있고, 독특한 향이 난다.

꽃: 7~8월에 줄기 상부에 위치하는 잎겨드랑이(葉腋)에서 황색으로 피며, 꽃받침과 꽃잎이 각각 5개다.

열매: 갈래열매(分果)로 흑색이며, 종자가 3~5개 들어 있고, 겉에 털이 있다.

서식처: 농촌 밭 언저리, 휴경 밭, 농촌 마을 근처 길가, 하천변, 양지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구릉지 이하

식생지리: 아열대~한대, 전 세계 광역 분포

식생형: 터주식생(농촌형), 농지식생(휴경밭 일년생 초본식물군락)

[출처] 귀화식물 '어저귀'|작성자 SEEL



어저귀(苘實, 경실)- 이명. 명목(明目),| *─ 醫食同原 정보 ─*

숭산 | 조회 20 |추천 0 | 2017.07.06. 15:36


어저귀(苘實, 경실)

 아욱과의 한해살이 섬유식물로 높이 1.5m 정도이며 전체가 털로 덮이고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밑 부분이 합쳐지며 수술은 합쳐져서 통처럼 되고 암술은 10여 개의 방으로 갈라진 씨방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9월에 결실하며 심피가 돌려난 모양으로 배열하고 흑색으로 익으며 뾰족한 끝이 밖으로 젖혀지며 인도 원산이다.

 전초 또는 잎을 경마(苘麻), 뿌리는 경마근(苘麻根), 씨를 경실(苘實)이라 하여 약용한다.

 가을철 과실 성숙 시에 햇빛에 말린다.

 성()은 평()하고 미()는 고()하다.

 간, 대장경에 들어간다.

성분 : 정유, Linoleic acid

약효(藥效) : 청습열(淸濕熱), 명목(明目), 지사(止瀉), 살균(殺菌)의 효능이 있다.

용법용량 : 탕전(湯煎)하거나 산제로 19-18g을 복용한다.

경마(苘麻) : 지상부분에는 rutin 0.2%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藥效) : 이질(痢疾), 중이염(中耳炎), 이명(耳鳴), 이농(耳聾), 관절의 둔통(鈍痛)을 치료한다. 은 옹저(癰疽), ()을 치료하고 전초는 해독, 거풍(祛風)의 효능이 있다.

용법용량 : 9-30g을 달여서 복용하고 외용 시는 찧어서 붙인다.

경마근(苘麻根) : 12월 중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점액질이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는 pentose 1.41%, pentosan 1.25%, methylpentosan 5.13%, uron17.20%, methylpentose 미량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藥效) : 하리(下痢), 소변 임력(淋癧)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경실(苘實) : 가을에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성분 : 유지가 15-17% 함유되어 있고 그 중 58%linolt산이다.

약효(藥效) : 적백리(赤白痢), 안예막(眼翳膜, 藏府氣血이 막혀 肝肺風熱邪가 눈에 침입해 눈에 翳膜이 생겨 눈동자를 가리는 병증), 옹종(癰腫), 나력(瘰癧)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적백냉열리(赤白冷熱痢)의 치료에는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옹종(擁腫)에는 1()을 복용하면 파종(破腫)이 된다.

 ◈ 동의보감

 경실(어저뀌씨) : 성질은 평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다.

 냉이나 열로 된 적백리를 낫게 하고 옹종을 헤친다. 잎은 모시와 비슷하고 꽃은 누르며 씨는 촉규화씨(蜀葵子)와 비슷한데 검다. 사람들이 이 껍질로 천을 짜고 노끈을 꼰다(본초). 즉 백마(白麻)이다(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