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소방학(Fire Protecting Architecture, 2-2-0)
건축물 화재의 개념과 사례를 정리하며 건축물 내외장 설계 및 방화구획에 대한 사항을 기술한다. 건축공간의 피난계획 및 주택방화설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사항을 기술하고, 건축물에 대한 유형별 성능위주 설계이론, 건축법에 대한 이해, 건축구조 및 재료특성을 기술하며 건축물화재안전의 연습에 필요한 사항을 기술한다.
2. 기상방재학(Disaster Prevention of Meteorological, 3-2-2)
기상도, 일기예보, 지구의 기상환경, 태풍, 호우, 설해의 원인 및 대기흐름장등 기상현상의 기본적이 내용을 학습한다.
3. 도시방재론(Urban Disaster Prevention, 2-2-0)
도시방재계획의 개념, 도시재난의 사례를 통한 교훈, 도시재난시의 대응, 재난으로부터 인명과 도시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내용을 학습한다.
4. 방재학개론(Introduction to Disaster Prevention, 3-3-0)
각종 자연재해의 발생원인, 진행, 결과 등에 대해서 이해함으로써 이에 대한 방재 기술을 터득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5. 방화공학(Fire Protection Engineering, 3-3-0)
화재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을 공학적으로 철저히 분석하여 화재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화재의 발생원, 화재의 분류와 형식, 화재의 예방과 검출, 화재의 영향과 방호, 화재의 제어, 억제 등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
6. 방화실화수사실무(Practice of Arson & Misfire Investigation, 2-0-4)
방화 또는 실화와 관련하여 형법, 형사소송법, 범죄심리학, 법의학, 증거보존절차 등을 소개하고, 법적책임에 따른 과실 여부를 분명하게 규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7. 사고지휘체계론(Theory of Incident Command System, 3-3-0)
사고현장을 신속히 처리하고,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의 관리책임을 갖는 사고현장 조직구성 내의 장비, 자원, 인원, 절차, 의사전달체계 등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강의한다.
8. 산불방재학(Forest Fire Control Engineering, 3-2-2)
산불진화의 기본원리, 산불진행 예측, 산림연료 특성 및 관리, 산불위험지 분석 및 평가, 산불진화방법, 산불안전 및 구조 활동, 산불진화장비의 활용기술 등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
9. 산불예방공학(Forest Fire Prevention Engineering, 3-2-2)
산림연료 특성 및 관리, 산불위험지 분석 및 평가, 인위적 산불방지, 내화수림대 조성 및 관리, 산불위험지수 산출 및 예보시스템, 산불피난 경보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
10. 산불피해지복구론(Forest Fire Ecology & Recovery Engineering, 2-2-0)
산불화재 후에 산불피해지의 식생변화, 토양변화, 토사유출 방지, 사면침식, 산불 피해목 처리 및 재생임분 변화와 산불피해지 복원기술에 관한 내용을 강의한다.
11. 소방교육학(Pedagogy of Fire Service, 3-3-0)
안전관계 수칙, 작업별 위험사고 사례, 사고방지의 기본원리, 보호구 사용법, 대피방법 및 응급처리 방법 등을 익히고 교육방법으로서는 지식교육, 기능교육 및 태도교육으로 구분하여 교육한다.
12. 소방법규해설(Commentary of Fire Protection Laws, 2-2-0)
소방관련 법률을 설명함. 소방관련 법률이 어떻게 제정되고 적용되는지에 관한 체계를 설명한다. 각종 소방관련 법률의 범위와 법률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13. 소방심리학(Psychology of Fire Service, 3-3-0)
심리학의 기초이론을 방화자 및 재난피해자의 심리를 중심으로 설명함. 인간의 안전에 관한 의식과 행동변화도 다룬다. 방화피의자의 심리분석에 관한 기본 이론을 설명하고 피해자의 외상후 심리치료에 관한 내용도 소개한다.
14. 소방장비론(Theory of Fire Suppression Apparatus & Relative Equipment, 3-2-2)
차량 및 통신장비를 포함한 소방장비의 종류․구조원리를 이해하고 그 사용법을 익히며, 장비의 유지관리와 제원 및 기준까지 이해하도록 기술한다.
15. 소방전기설비공학(Fire Protection Electrical Engineering, 3-2-2)
소방대상물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재실자들의 안전한 대피를 위하여 설치되는 피난유도설비와 소화 활동설비, 소화설비의 부대전기 설비 및 방재배선, 방재전원에 대하여 기술한다. 아울러 소화설비, 제연설비 등 모든 소방시설들 간의 제어 흐름을 익힐 수 있도록 기술한다.
16. 소방학개론(Introduction to Fire Service, 3-3-0)
소방공학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화재의 개념, 연소의 개념, 소화의 개념, 화재의 방어, 유형별 화재 사고 사례 등에 관해 강의한다.
17. 소방행정실무(Practice of Fire Service Administration, 2-2-0)
소방조직의 사무관리에 대해 설명함. 사무관리의 개요, 문서관리, 정책실명제, 관인관리, 보고사무, 협조사무, 서식관리, 업무편람, 사무자동화, 행정사무개선 등에 대해 다룬다.
18. 소화설비론(Theory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3-2-2)
소화설비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기술하여 효과적인 소화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발화온도 이하의 온도감소나 산소의 공급을 차단시켜 산소농도를 희석시키는 방법이나, 가연물질을 화재현장으로부터 제거하거나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억제시키는 방법과 이론에 대하여 기술한다.
19. 소화약제(Science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3-2-2)
화재의 성장과 확산을 막고 연소를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소화약제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소화효과 등을 기술한다. 각종 화재에 대한 적응능력 및 사용방법과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설비의 기본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소화약제로서 갖추어야할 성능과 평가하는 방법, 저장 및 점검방법과 취급상의 주의할 점등을 기술하도록 한다. 새로운 기술의 발달에 따른 청정소화약제의 특성과 대체방법에 대하여도 다루도록 한다. 방염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20. 연소학(Combustion Science, 3-2-2)
화재의 기초 현상인 연소현상에 대한 학문적 접근과 화재공학이나 소화를 해야 하는 소방분야에의 적용을 위한 기본학문으로 필요한 과목이다. 연소화학반응을 기초로 하여 각종 연소현상과 메커니즘, 불이 붙는 착화과정과 불이 꺼지는 소화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또한 각종 가연성물질의 상태나 형태에 따른 연소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연소에 필요한 각종 연소계산을 가능하도록 내용을 정리한다.
21. 위험물질론(Theory of Hazardous Materials, 3-2-2)
화학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유기․무기 화합물의 특성을 기술하고 화재 위험성과 인체 유해성을 갖는지에 대한 이론과 위험물질들의 화재시 나타내는 특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아울러 위험물질들의 누출이나 화재 시 긴급 대응할 수 있는 방법 등도 기술하여 화재의 조기수습과 예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분류체계와 더불어 외국의 위험물질 분류시스템에 대해 비교분석하여 위험성 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방호체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22. 유체역학(Fluid Dynamics, 3-2-2)
유체의 특성을 기초로 유체의 정역학, 운동학, 동역학 및 운동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충격량-운동량의 원리, 관로유동해석, 이상유체 및 압축성 유체, 유동에 있어서의 성질, 적용되는 법칙, 원리, 손실, 그리고 개수로, 폐수로의 유동특성, 차원해석과 상사법칙, 경계층 이론, 유체계측 등 유체공학의 기초와 응용 유체역학을 다룬다.
23. 응급처치론(Theory of First Aid, 3-2-2)
응급의료서비스 체계, 응급구조사의 법적책임 등 응급의료의 개괄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인체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이해하고, 환자평가에부터 상병별 응급처치의 술기를 익히도록 기술한다.
24. 재난관리론(Theory of Disaster Management, 3-3-0)
재난관리에 관한 기초이론을 설명함. 재난관리과정을 중심으로 재난완화, 재난준비, 재난대응, 재난복구에 관한 이론들을 소개함.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재난의 유형, 재난의 특징, 재난관리의 단계, 재난관리체계 등을 다룰 뿐만 아니라 재난관리와 유사한 위기관리에 관한 내용도 포함한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테러에 관한 기본적 내용도 다룬다.
25. 재해통계학(Statistics of Disaster, 3-2-2)
통계학의 기본이론을 화재나 재난관련 통계를 중심으로 설명함. 빈도분석, 표준편차, 카이검증, 회귀분석 등을 다룬다. 화재나 재난통계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거나 인과관계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룬다.
26. 전공수학(Mathematics for Fire & Emergency Management, 2-2-0)
전공과목의 이해에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을 다루며, 미분과 적분 중심의 대수학, 미분방정식과 라플라스변환, 행렬, 벡터, 복소수, 급수함수 등에 관련된 수학이론을 강의한다.
27. 전공영어Ⅰ(English for Fire & Emergency ManagementⅠ, 3-2-2)
세계화 시대에 필수적인 영어실력을 향상시키고자 영어에 대한 문법 중심의 기초실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28. 전공영어Ⅱ(English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Ⅱ, 3-2-2)
재난현장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 뿐 아니라 소방관련 전문서적이나 논문을 독해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29. 전공영어Ⅲ(English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Ⅲ, 3-2-2)
전공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영어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강의한다.
30. 전공영어Ⅳ(English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Ⅳ, 3-2-2)
모의 TOEIC과 같은 실전 영어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어휘, 독해, 듣기능력, 문법 등 총괄적인 영어능력 제고를 통한 전공분야의 선진 이론 및 기술을 쉽게 터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1. 전공실무영어Ⅰ(Practical English for Fire & Emergency ManagementⅠ, 3-2-2)
취업관련 영어 인터뷰 및 각종 영어 발표 등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영어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32. 전공실무영어Ⅱ(Practical English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Ⅱ, 3-2-2)
전공 관련 각종 외국서적이나 논문을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영어로 제작된 전공실무 관련 영상물 등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영어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강의한다.
33. 전공CAD(CAD of Fire & Emergency Management, 2-0-4)
소방설계 및 소방설비 기구의 도면작성을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하며, CAD를 이용한 소방기구 및 장비의 도면작성에 관해 강의한다.
34. 전기회로(Electrical Circuit, 3-2-2)
소방 전기설비 도면작성, 해독, 설계 등 실무를 위한 내용을 터득하여 기본 제도 법, 소방전기 기기제도, 소방옥내 배선제도, 접속도, 기본회로도, 응용회로도 등을 학습하고, 소방 전기설비 도면작성, 해독, 설계 등 실무를 위한 내용을 터득하여 기본 제도 법, 소방전기 기기제도, 소방옥내 배선제도, 접속도, 기본회로도, 응용회로도 등을 실험한다.
35. 재난유형론(Pattern of Calamity, 2-2-0)
자연재난과 인적재난의 재난유형별 재난발생의 메카니즘에 기초해서 재난의 예방과 대책에 관해 학습한다.
36.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0-4)
GIS는 지리적 정보를 모으고, 조작하고, 분석하는 컴퓨터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하는 도구로서 GIS의 기초 요소는 데이터의 위치시키는 참조지점을 정하는 경위도와 같은 좌표체계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이론을 학습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37. 특수화재론Ⅰ(Theory of Special FireⅠ, 2-2-0)
현대사회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항공기 화재, 선박화재, 열차화재, 이동탱크화재, 실험실화재, 발전소화재, 공업단지화재와 기타 특수구조물화재의 원인과 대책뿐만 아니라 산림화재의 원인과 대책 등에 대한 총괄적인 개론을 강의한다.
38. 특수화재론Ⅱ(Theory of Special FireⅡ, 2-2-0)
가스폭발, 분진폭발 등과 같은 위험물 저장소 및 취급 시설과 광산 등 잠재적인 폭발의 위험을 지닌 현장을 대상으로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중심의 재난관리 이론을 강의한다.
39. 폭발론(Theory of Explosion, 3-2-2)
가연성물질 중에 기체나 분체의 급격한 연소현상인 화학적 폭발현상과 물리적 폭발현상에 대하여 폭발의 종류와 형식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기술한다. 각각의 폭발에 대하여 발생원인과 결과를 해석할 수 있도록 기술한다. 폭발의 주체가 되는 가스의 특성 및 위험성에 대하여도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에 포함시키고, 폭발의 피해를 계산하고 폭발피해의 방지방법과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한 방호대책 및 안전장치와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40. 화재감식학Ⅰ(Science of Fire IdentificationⅠ, 3-3-0)
화재와 관련되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고 자료, 장비 및 시설을 활용하여 방화와 실화범죄 사실을 밝히고 방증을 수집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으로 기술한다. 연소패턴, 발화원판정, 발화개소판정, 건축물 구조학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41. 화재감식학Ⅱ(Science of Fire IdentificationⅡ, 3-3-0)
화재와 관련되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고 자료, 장비 및 시설을 활용하여 방화와 실화범죄 사실을 밝히고 방증을 수집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으로 기술한다. 전기화재감식, 가스화재감식, 폭발화재감식, 방화화재감식, 차량화재감식, 미소화원화재감식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42. 화재조사론(Theory of Fire Investigation, 3-3-0)
화재조사방법론, 화재조사관련 법령, 화재통계 분석, 외국의 화재조사제도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43. 화재조사실무(Practice of Fire Investigation, 3-3-0)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화재피해액의 산정방법을 설명하고, 각종 화재조사 서류와 그 작성법, 화재조사기자재 사용법을 설명하고 실습한다.
44. 화재학(Fire Science, 3-3-0)
발화에서 화재로 성장하고 소멸해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공학적으로 해석하여 소방공학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화재와 연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화재를 확대시키는 열전달 현상과, 화재의 착화과정, 확대․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열 및 유체역학적인 이해를 돕도록 구성한다. 또한 화재의 최성기에 도달하여 소진되기까지 에너지의 방출과 전달과정, 각종 가연물의 화재현상, 건물 내에서 화재의 발달과정 및 연기의 생성과 유동 등 기초내용들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