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자나무 재배요령 농사 이야기
탱자나무 어린 과실을 지실(枳實) ,성숙한 과실을 지각(枳殼),枳橘(지귤), 패귤, 구과, 구곡, 구과, 구, 구실, 구귤 자실 잎 잎은 호생하고 삼출엽이며 엽병에 날개가 약간 있다. 소엽은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로서 둔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둔한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정도이고 잎 표면에 투명점이 있다. 열매 장과는 둥글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지름 3cm로서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고 9-10월에 황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3cm쯤 된다. 어린 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3.5-5cm로서 정생 또는 액생하고 1개 또는 2개씩 달리며 꽃받침잎과 꽃잎은 5개가 이생하고 꽃잎은 길이 1.5cm정도이며 개출한다. 수술은 20개이고 털은 없으며 자방은 8-10실로 나뉘고 밀모가 있다. 줄기 가지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정도의 굳센 가시가 호생한다. 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원산지 중국 중부 지방이 원산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가 3-5m 정도 자란다.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한 편이고 토성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며 양수(陽樹)이다. 토양은 비옥하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 좋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으로 한다. ⓐ종자채취를 하여 직파하거나 습기있는 모래와 섞어 두었다가 파종한다. ⓑ발아율은 매우 높아서 95%인데, 종자저장시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육성된 묘목은 귤나무의 대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배특성 이식이 쉽고 전정을 하여 수형을 다듬어 줄 수 있다. 파종기 10월,11월 결실기 9월 이용방안 ▶줄기에 매우 강한 가시가 나 있어 방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과수원 생울타리로 최적합한 수종이며, 차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묘목은 밀감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한다. ▶미성숙 과실은 枸橘(구귤), 根皮는 枳根皮(지근피), 수피의 小片(소편)은 枳茹(지여), 가시는 枸橘刺(구귤자), 잎은 枸橘葉(구귤엽), 성숙 직전의 과실은 枳殼(지각), 종자는 枸橘核(구귤핵)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枸橘(구귤) - 疏肝(소간), 和胃(화위), 理氣(이기),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胸腹脹滿(흉복창만), 胃痛(위통), 疝氣(산기), 乳房結核(유방결핵), 子宮下垂(자궁하수), 타박상을 치료하고 酒毒(주독)을 해독한다. ⑵枳根皮(지근피) - 齒痛(치통), 치질, 혈변을 치료하고 뿌리를 술에 담갔다 달인 즙을 입안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을 다스릴 수 있다. ⑶枳茹(지여) - 탱자나무의 枝莖(지경) 및 피(皮)는 水脹(수창), 異風(이풍), 骨筋疼痛(골근동통)을 치료한다. ⑷枸橘刺(구귤자) - 風蟲齒痛(풍충치통)에 구귤자의 달인 액을 머금고 있다가 뱉아낸다. ⑸枸橘葉(구귤엽) - 理氣(이기), 祛風(거풍), 消毒(소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⑹枳殼(지각) - 破棄(파기), 行痰(행담), 消積(소적),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胸膈痰滯(흉격담체), 胸痺(흉비), 脇脹(협창), 食積(식적), 噫氣(희기), 嘔吐(구토), 下痢後重(하리후중), 脫肛(탈항), 子宮脫垂(자궁탈수)를 치료한다. ⑺枸橘核(구귤핵) - 腸風下血不止(장풍하혈부지)에 구귤핵, 樗根白皮(저근백피) 각 等量(등량)을 볶아서 가루 내어 1회 3g씩 莢子(급협자)를 달인 액으로 調服(조복)한다. 특징 ▶천연기념물 제78(경기도 강화군 강화읍)호,79(경기도 강화군 화도면)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1주(株) 13㎡, ⓑ소유자:개인,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년, ⓔ나무높이:4m, ⓕ뿌리목둘레:1m. 이 나무는 강화도 역사박물관에 이웃해서 토성의 비탈면 아래쪽에 보호를 위해 철책에 둘러싸여있고, 석축이 되어 있어서 나무에 해로운 흙이 유실은 염려없다. 굵은 줄기의 아래쪽 내부는 목질부가 부후해 있고 줄기에는 독특한 골이 세로로 나 있다. 건강한 모습으로 자라고 있고 수관은 경사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감이 있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탄저병, 그을음병, 흑반병, 깍지벌레. |
'농촌[우금리] > 4. 꽃,나무,숲,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화초심기] 파키라 (0) | 2017.02.02 |
---|---|
중부지방에서 기르면 좋을 우리 나무(이유미, 우리나무 백가지, 현암사,2006, 참조함) (0) | 2017.02.02 |
[스크랩]넓은잎당마가목 (0) | 2017.02.02 |
산림조합 나무전시판매 (0) | 2017.02.01 |
한라생태숲 탐방센터 - 나무 나이테, 나무 껍질, 다정큼나무-2017.1.13 (0) | 2017.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