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밭 가꾸기

[스크랩]도도새의 법칙

양선재 2015. 2. 24. 16:41

 
  418호 2015. 2. 24
‘성숙의 불씨’는 성숙한사회가꾸기모임에서
주 1회(화)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도도새의 법칙

 

 


 

  오래전에 인도양의 한 무인도 모리셔스 섬에 새들이 모여살고 있었다. 천혜의 기후조건과 풍부한 먹거리 때문에 이들은 나름대로 지상낙원에서 살고 있었다. 게다가 천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새들은 날거나 나무위에 둥지를 만들 필요가 없었다. 아무런 도전과 시련도 없이 편하게 살다보니 결국 날개가 퇴화되어 날 수 없게 되었다.

 

  1505년 포르투갈 선원들이 이 섬을 발견하고 상륙했다. 이 새들은 사람을 보고도 도망가지 않고 멀뚱멀뚱 바라보다 쉽게 잡혀 사람의 먹잇감이 되었다. 이 새들은 포르투갈어로 ‘바보 같다(do do)’하여 '도도새'라 불린 것이다. 사람들이 이 섬에 오면서 야생동물들이 유입되어 땅 위에 있는 둥지 안의 알과 새끼들이 살아남지 못하게 된다. 결국 100년 후 도도새는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도도새의 법칙'은 이른바 ‘게으른 자의 도태법칙’이라고도 한다. 현실에 안주하고 자족함으로써 변화와 위기에 전혀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경쟁에서 낙오하거나 도태되는 현상을 그렇게 지칭한다.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는 것은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이 아니라 수많은 도전과 시련, 경쟁일 때가 많다. 종종 변화하려는 의지와 외부의 도전과 응전의 경쟁이 우리를 성장시킨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는 청어의 예를 들어 자신의 이론인 ‘도전과 응전’을 설명했다. 청어가 잡히는 곳은 북해 같은 먼 곳이어서 살아있는 싱싱한 청어를 잡아와 영국에서 먹기 어려웠다. 하지만 수조에 천적인 물메기 몇 마리를 함께 넣었더니 청어가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도망 다녔고 그러다보니 싱싱한 청어를 가져올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고인 물은 썩는다.’라는 우리나라 속담이 있다. 현재의 생활에만 만족해서 앞으로 나가지 못할 때 쓰는 말이다. 퇴보하는 일이 없어지려면 현재의 생활에 충실하되 미래도 함께 생각해야 한다. 우리의 가는 길이 순탄하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만이 아니며, 우리의 앞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나쁜 것만도 아니다.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걸림돌도 될 수 있고, 디딤돌도 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사회의 젊은이들 중에는 현실에 안주하는 ‘도도새족’이 있는가 하면, 현실의 난관을 견디지 못하고 포기하는 무기력한 ‘도도새족’도 있다. 이십대의 태반이 백수라는 ‘이태백’들이 방황하고 있다. 이들은 ‘일자리’를 찾을 때 일보다는 자리를 중시한다. 더 높은 자리, 더 힘센 자리를 찾는다. 일거리는 많은데 자리가 없다. 결국 이태백은 ‘삼포족’이 되어 결혼, 출산, 취업을 포기하고 살아간다. 인구는 줄고 실업은 증대하고, 경제는 성장을 멈춘다. 세수는 줄고 복지요구는 날로 높아만 간다. 이러한 현실을 정치 공학적으로 악용하는 세력들이 있어 사회갈등은 심화된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면서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가정과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교육도 계속해야 하겠지만, 시련과 도전을 걸림돌로 생각하지 않고 디딤돌로 활용하도록 하는 극기와 지옥훈련도 병행해야 한다.

 

 

글쓴이 / 이택호

·육군사관학교 명예교수       

·(사)평화통일국민포럼 이사/홍보위원장

·철학문화연구소 계간『철학과 현실』 자문위원

·성숙한사회가꾸기모임 '성숙의 불씨' 집필위원   

※ 글 내용은 성숙한사회가꾸기모임의 공식견해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