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책네트워크 |
국내외 교육정책 정보 자료 안내 |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교육정책네트워크* 운영사업의 일환으로 교육정책에 대한 정보 공유를 위하여 다양한 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교육정책네트워크란? ‘교육정책네트워크’ 사업은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교육관련 유관기관(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EBS, 한국과학창의재단 등) 간의 인적교류, 공동연구, 정보공유를 위한 협력 체제를 말합니다. |
★ 모든 자료는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 |
페이스북 페이지: http://www.facebook.com/edpolicy.net | |
자료문의: ☎ 02-3460-0374, 0414 |
네이버에서 교육정책네트워크를 검색해보세요. |
|
국내 교육정책 정보 | Issue Paper |
이슈페이퍼 |
| 쟁점이 되고 있는 교육 이슈를 선정하여 그 실태와 과제, 향후 발전방안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제시합니다. |
□ 자료유형 : 국내 현안보고서
□ 2014년 발간목록
☞클릭 아래의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연결됩니다.
호 | 제 목 |
1호 | |
2호 | |
3호 | |
4호 | |
5호 | |
6호 | |
7호 | |
8호 | |
9호 | |
10호 |
□ ☞클릭 이슈페이퍼 모두 보기
국내 교육정책 정보 | Educational policy forum |
교육정책포럼 |
| 중요 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공동체의 의견을 제공하고 교육분야의 대안적 뉴스미디어 역할을 합니다. |
□ 자료유형 : 정기간행물
□ 발간방법 : 매월 셋째 주 수요일, 월1회 온․오프라인 발간
□ 2014년 발간목록
☞클릭 교육정책포럼 홈페이지: http://www.eduforum.re.kr
호(발간월) | 주 제 |
247호(1월) | 미래교육의 변화와 도전과제 |
248호(2월) | 교육부 ‘정부3.0’의 의미와 추진방향 |
249호(3월) | 일반고 교육, 어떻게 변화해야하나 |
250호(4월) |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의 의미와 추진방향 |
251호(5월) |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통일교육의 방향 |
252호(6월) | 새 교육감에게 바란다! |
253호(7월) | 교육재원을 줄여야 할 때와 늘여야 할 때 |
254호(8월) |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 시행 방안 |
255호(9월) |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
256호(10월) | 교육분야 규제개혁 그 필요성과 방향 |
257호(11월) |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
258호(12월) | 건강한 교육 생태계 확립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과제 |
□ 구독신청 : mailzine@kedi.re.kr로 성명, 이메일주소를 보내주시면 매달 교육정책포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교육정책 정보 |
교육현장 지원연구 |
| 시·도 및 학교의 요구에 따르는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시도와 학교 현장의 당면한 문제들을 해소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
□ 자료유형 : 연구보고서
□ 2014년 연구과제 목록
☞클릭 아래의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연결됩니다.
연구과제명 | 연구 책임자 | 소속 |
정제영 | 이화여대 | |
김숙정 | 부산 수안초 | |
고장완 | 성균관대 | |
신상명 | 경북대 | |
박현모 | 여주대 | |
안병영 | 연세대 | |
김우열 | 대구교대 | |
홍후조 | 고려대 | |
장덕호 | 상명대 | |
서우석 | 경인교대 |
□ ☞클릭 교육현장 지원연구 모두 보기
국외 교육정책 정보 | mailzine, the trend of education |
메일진 해외교육동향 |
| 주요 국가의 교육정책 및 언론 동향 자료 등 해외교육 관련 정보를 다양한 차원으로 적시성 있게 제공하여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합니다. ※ 조사국가: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중국, 독일, 캐나다, 핀란드, 호주 |
□ 자료유형 : 온라인 뉴스레터
□ 발간형식 : 월2회 메일진 발간(둘째, 넷째 주 수요일)
□ 2014년 발간목록 ☞클릭 해외교육동향 보기
호 | 내 용 |
223호 | 미국: <줄어드는 홈스쿨링 규제> 외 |
224호 | 영국: <영국의 초·중등학교용 디지털교과서 정책 및 현황> 외 |
225호 | 독일: <2014년 주 교육부 장관회 중점 정책> 외 |
226호 | 프랑스: <학생 거주 공간을 위한 우선 정책> 외 |
227호 | 핀란드: <영국에 수출되는 핀란드 무상급식 모델> 외 |
228호 | 일본: <유아교육 무상화 미뤄지는 대신 보육료 인하> 외 |
229호 | 캐나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계획 수립> 외 |
230호 | 중국: <입시과목에 전통문화 내용의 비중을 늘리기로> 외 |
231호 | 미국: <양날의 검: 학부모참여> 외 |
232호 | 영국: <학생평가방법 개발 공모결과> 외 |
233호 | 독일: <교사연수 프로그램 현황> 외 |
234호 | 프랑스: <청소년 건강 및 안전에 관한 교육 실태> 외 |
235호 | 핀란드: <유아교사 최저임금 인상> 외 |
236호 | 호주: <남호주, 학생 안전과 웰빙을 위한 프로그램 시행> 외 |
237호 | 일본: <‘노력하는 학교’ 평가기준 공표> 외 |
238호 | 중국: <학생관리규정, 복장 및 두발 규정, 학생 행동규범> 외 |
239호 | 미국: <학교폭력(왕따)을 끝내는 방법> 외 |
240호 | 영국: <교육수준 제고를 위한 교사 훈련 강화> 외 |
241호 | 독일: <함부르크주의 학교폭력이 증가> 외 |
242호 | 프랑스: <에볼라 감염 우려, 자녀 등교 거부> 외 |
243호 | 핀란드: <전국 예절교육 주간> 외 |
244호 | 캐나다: <경험을 통한 학습 강조> 외 |
245호 | 핀란드: <게임의 날 및 게임주간 실시> 외 |
246호 | 미국: <학업 부진은 지능의 문제가 아님> 외 |
□ 구독신청 : mailzine@kedi.re.kr로 성명, 이메일주소를 보내주시면 매달 해외교육동향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외 교육정책 정보 | global educational policy information |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
| 외국의 교육정책 중 국내에 정책적 시사점 및 활용도가 높은 주제를 선정하여 전문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
□ 자료유형 : 국외 현안보고서
□ 2014년 발간목록
☞클릭 아래의 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연결됩니다.
호 | 제 목 |
1호 | |
2호 | |
3호 | |
4호 | |
5호 | |
6호 | |
7호 | |
8호 | |
9호 | |
10호 |
□ ☞클릭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모두 보기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홈페이지 | |
| 교육정책네트워크가 교육정책과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교육정책 포털 사이트 |
www.edpolicy.net |
교육정책네트워크 페이스북 페이지 | |
| 국내외 교육정보를 SNS에서 확인하는교육정책네트워크 페이스북 페이지 |
www.facebook.com/edpolicy.net | |
|
'B. 교육 > 교육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한국형 무크 (0) | 2015.03.04 |
---|---|
[기사]시골학교로 학생들 몰렸다/창업가 정신 학교에서 가르치자 (0) | 2015.02.25 |
[기사]미네르바, 고등교육의 새 패러다임 열까 (0) | 2015.02.10 |
[기사]최악의 집단 무기력에 빠진 한국의 교사들/교사의 질이 교육의 질이다 (0) | 2015.02.10 |
[칼럼]우려스런 황우여 장관의 교육관 - 취업중심대학론 (0) | 2015.02.09 |